투자로 자산늘리기
수익률 점검보다 중요한 ‘리스크 점검표’ 만드는 법
금자길
2025. 4. 22. 14:13
수익률 점검보다 중요한 ‘리스크 점검표’ 만드는 법
투자에서 수익률만 보는 것은 운전할 때 속도계만 보는 것과 같습니다. 이 글에서는 자산을 지키기 위한 ‘리스크 점검표’를 만들고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.
💬 수익률보다 중요한 건, 잃지 않는 구조
“수익률은 나쁘지 않은데, 자산은 왜 늘지 않지?”
“하락장만 오면 불안해서 전략을 바꿔요…”
“자산 구성은 괜찮은데, 정작 부채가 늘고 있어요…”
📌 이런 문제들의 공통점은 리스크 점검이 빠져 있다는 것입니다.
수익은 ‘보너스’이고,
리스크 관리가 진짜 ‘투자의 뼈대’입니다.
✅ 리스크 점검표란?
현재 내가 감당해야 할 위험 요소를 정리하고,
→ ‘위험 노출도’를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체크 리스트
🎯 리스크는 3가지로 나뉩니다
구분 | 설명 | 예시 |
시장 리스크 | 외부 요인으로 자산 가치 하락 | 금리 인상, 주가 폭락, 환율 변동 |
유동성 리스크 | 자산은 있으나 당장 현금화 어려움 | 부동산 위주 자산, 현금 부족 |
심리/행동 리스크 | 투자자의 감정과 행동이 불안정 | 공포 매도, 과도한 몰빵 투자 |
🔧 실전 리스크 점검표 구성
✅ Step 1. 기본 항목 작성
항목 | 체크 기준 | 내 상태 |
현금 보유 비율 | 전체 자산의 10~20% 이상 | ✅ / ❌ |
투자 자산 분산 | 1개 자산군 비중 50% 이하 | ✅ / ❌ |
채무 상황 | 부채/자산 비율 40% 이하 | ✅ / ❌ |
자동 매수 구조 | 월 정기 투자 여부 | ✅ / ❌ |
감정 대응 | 손실 시 매도 안함 | ✅ / ❌ |
목표 대비 괴리율 | 계획 대비 자산 변화폭 20% 이내 | ✅ / ❌ |
📌 각 항목에 대해 월 1회 점검하고, 위험 신호가 2개 이상이면 ‘전략 조정’ 필요
✅ Step 2. 점검표를 시각화해 보기
예: 리스크 신호 수
월 | 총 항목 | 문제 항목 | 점수 |
1월 | 6 | 1 | 83점 (양호) |
2월 | 6 | 3 | 50점 (주의 필요) |
3월 | 6 | 2 | 67점 (조정 필요) |
→ 감점 기준으로 투자 강도, 현금 보유 비중 조정 루틴 설계
✅ Step 3. 리스크 완화 전략 설정
문제 항목 | 조치 |
현금 부족 | 다음 달 수입 일부 CMA로 분리 |
주식 쏠림 | ETF 리밸런싱 or 채권형 편입 |
부채 증가 | 고정비 정리 or 카드 지출 제한 |
감정적 투자 | MTS 삭제, 자동 매수만 유지 |
📌 '리스크 → 원인 → 대응 루틴'을 연결하면
하락장이 와도 내가 무엇을 할지 알게 됩니다.
🧠 보너스: Notion or 구글 시트 템플릿 예시
항목 | 기준 | 현재 상태 | 다음 액션 |
현금 보유 | ≥ 15% | 8% | 매월 20만 원 추가 적립 |
자동 매수 | 실행 중 | ✅ | 그대로 유지 |
투자 비중 | 주식 70% | 위험 | 채권형 10% 리밸런싱 |
감정 평가 | 안정적 | ❌ | 매주 수익률 확인 제한 |
→ 템플릿으로 정리하면 '감정'이 아니라 '구조'로 대응 가능
✅ 정리하며
- 리스크 점검표는 ‘위험을 피하는’ 것이 아니라
→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도구입니다 - 수익보다 중요한 건
→ 흔들리지 않고, 계획을 유지할 수 있는 나만의 기준입니다
투자의 고수는 수익률을 자랑하지 않습니다.
리스크를 관리하는 구조를 자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