투자로 자산늘리기

투자 수익률보다 중요한 ‘잔고 추이’ 추적 루틴 만들기

금자길 2025. 4. 22. 20:25

투자 수익률보다 중요한 ‘잔고 추이’ 추적 루틴 만들기

수익률보다 더 강력한 지표는 자산의 흐름입니다.
이 글에서는 잔고가 ‘어떻게 자라나는지’를 추적하는 방법과, 지속 가능한 투자 루틴을 설계하는 실전 전략을 소개합니다.


💬 당신은 "얼마 벌었는가"보다 "얼마 쌓였는가"를 봐야 합니다

“수익률은 플러스인데, 자산은 왜 그대로죠?”
“이번 달은 손해 봤어요… 그런데 잔고는 늘었네요?”
“투자 성과가 체감되지 않아요…”

 

📌 이런 혼란은 모두 수익률만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👉 진짜 중요한 건 수익률이 아니라 **총잔고의 흐름(추이)**입니다.


✅ 잔고 추이가 중요한 이유

비교 기준 수익률만 본 경우 잔고 추이 본 경우
단기 판단 ±값에 감정 흔들림 추세선으로 안정 판단
성과 체감 수익 있어도 실감 없음 금액 변화로 체감 ↑
루틴 유지력 하락장에 중단 상승 추세 확인 → 유지 가능

📌 “수익률은 순간이고, 잔고는 여정입니다.”


🔧 잔고 추이 추적 루틴 설계법


✅ Step 1. 매월 총 자산 스냅샷 기록

  • 월 1회 자산 총액을 스프레드시트에 입력
  • 포함 항목: 예금, 투자 계좌 잔고, 연금, CMA 등
  • 부채는 제외하거나 ‘순자산’으로 별도 관리

예시:

날짜 총자산(만원)
1월 1,240
2월 1,312
3월 1,384
4월 1,460

✅ Step 2. 시각화 – 자산 성장 곡선 그리기

📈 단순한 선 그래프만으로도 동기 부여 + 성과 체감 가능

  • 구글 시트 or 엑셀 → 선 그래프 삽입
  • 기준선 추가: “목표 자산” vs “현재 자산”

✅ Step 3. 증가/감소 이유 간단 기록

변화 폭 이유 요약 다음 전략
2월 +72만 원 ETF 수익 + 입금 유지 자동이체 계속
3월 +72만 원 배당금 수령 + 카드 지출 줄임 지출관리 유지
4월 +76만 원 보너스 유입 + 주가 상승 일부 이익 실현

📌 변화 원인을 정리하면 자산 증식의 패턴이 눈에 보입니다.


✅ Step 4. 수익률 대신 ‘누적 투자금 대비 잔고 비율’ 보기

  • 예: 지금까지 총 1,000만 원을 투자했고
    → 현재 잔고가 1,180만 원이면
    잔고 성장률 = 18% (복합적 결과 포함)

→ 단순 수익률보다 현실적이고
→ 투자와 저축을 함께 추적할 수 있음


🧠 감정 관리 효과까지

  • 잔고 추이는 하락장에서의 ‘심리적 버팀목’
  • 단기 수익률 -5%여도
    → 잔고는 계속 늘고 있다면 전략 유지 가능

📌 감정은 숫자를 이기지 못합니다.
→ 잔고의 흐름은 감정의 흐름을 통제합니다.


✅ 보너스: 잔고 추이 트래커 (템플릿 예시)

총자산 순자산 누적 투자금 잔고 성장률 평가
1월 1,240만 원 1,100만 원 1,050만 원 +14.2% 🔵 유지
2월 1,312만 원 1,180만 원 1,080만 원 +18.5% 🟢 우수
3월 1,384만 원 1,240만 원 1,110만 원 +20.7% 🟢 우수

→ 평가 기준:

  • 🔵 = 기준 유지
  • 🟢 = 성장 중
  • 🔴 = 루틴 점검 필요

✅ 정리하며

  • 수익률만 보면 흔들리지만,
    → 잔고 추이를 보면 자신감과 안정감이 생깁니다
  • 투자는 ‘단기 변동’보다 장기 흐름을 보아야 하고,
    → 그 흐름을 만드는 것이 바로 잔고 추적 루틴입니다

“복리는 잔고 안에서 자랍니다.
그 성장을 기록하지 않으면,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.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