투자로 자산늘리기

지출과 자산 흐름을 연결하는 재무 대시보드 만들기

금자길 2025. 4. 23. 05:31

지출과 자산 흐름을 연결하는 재무 대시보드 만들기

돈은 ‘버는 것’보다 ‘흐름을 설계하는 것’이 중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지출, 수입, 투자 자산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 재무 대시보드 구성법을 알려드립니다.


💬 버는 만큼 자산이 안 늘어나는 이유

“월급은 그대로인데, 왜 잔고가 줄어들죠?”
“카드값은 늘어나는데, 뭐에 썼는지 모르겠어요.”
“지출은 파악되는데, 자산 흐름은 여전히 안 보여요.”

 

📌 수입, 지출, 자산이 ‘따로따로’ 관리되면 전체 흐름이 보이지 않습니다.

 

→ 하나의 구조 안에서 연결하고 정리해야

 

“자산 설계자”의 눈으로 내 돈을 볼 수 있습니다.


✅ 재무 대시보드란?

수입 → 지출 → 자산으로 이어지는 돈의 흐름을 시각화한 시스템

구성 요소 핵심 내용
수입 추적 고정/변동 수입, 부업 수입, 이자/배당
지출 분석 항목별 예산, 실지출 비교
자산 변화 총 자산, 투자 계좌, 순자산
목표 추적 저축률, 투자율, 목표 대비 성장률

🔧 실전 재무 대시보드 설계 루틴


✅ Step 1. 월간 수입/지출 시트 구성

항목 예산 실제 차이 비고
월급 350만 원 350만 원 0 고정 수입
부업 30만 원 40만 원 +10만 원 콘텐츠 외주
고정비 150만 원 152만 원 -2만 원 통신, 주거
생활비 80만 원 95만 원 -15만 원 외식 증가
저축 100만 원 80만 원 -20만 원 투자 이체 누락

📌 단순한 소비 통제가 아니라,
“수입 대비 흐름”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방식


✅ Step 2. 지출 분류는 4가지로 단순화

분류 예시
필수 지출 주거, 교통, 보험, 통신
선택 지출 외식, 쇼핑, 취미
미래 지출 저축, 투자, 교육비
일회성 지출 병원비, 선물, 대형가전

각 분류별 비율을 파이 차트로 시각화
→ "내가 어디에 가장 많이 쓰는 사람인가"를 데이터로 확인


✅ Step 3. 수입 → 지출 → 자산 흐름 연결

월급이 350만 원이라면,
→ 지출 후 남은 돈이 어디로 가는지 연결합니다.

 

예시 흐름 구조:

 
[수입]
→ 고정지출 (150만)
→ 유동지출 (100만)
→ 남은 잔액 (100만)
→ 저축 (50만) + 투자 (50만)
→ 자산 증가 반영

→ 이 흐름을 시트에서 연결된 자동화 계산으로 표현하면
돈의 "루트"를 스스로 설계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.


🧠 월간 요약 대시보드 예시

항목 이번 달 지난 달 증감
총수입 390만 원 380만 원 +10만 원
총지출 247만 원 255만 원 -8만 원
저축률 26% 22%
투자율 15% 12%
순자산 1,385만 원 1,312만 원 +73만 원

📌 이 요약표를 통해 성과와 흐름을 함께 점검할 수 있습니다.


✅ 보너스: 추천 도구 3가지

도구 특징 추천 포인트
구글 시트 직접 계산식 설정 가능 시각화 & 자동화
Notion 감성 + 실용성 월간 리뷰 + 표 연결
뱅크샐러드/토스 자동 연동 편리 카드/은행 데이터 실시간 추적

디지털 + 수기 조합도 효과적 (Notion에 감정 기록 + 시트 계산)


✅ 정리하며

  • 돈을 쓰는 구조, 남는 구조, 쌓이는 구조는
    별개가 아니라 하나의 흐름입니다
  • 그 흐름을 연결해주는 것이 바로
    재무 대시보드입니다

“돈이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를 모르면,
돈은 곧 나를 떠날 준비를 합니다.”